청년,신혼부부 지원
2025 청년도약계좌 완벽 정리|최대 5천만 원 목돈 마련하는 방법
꿀지원
2025. 4. 22. 10:30
728x90
반응형
💡 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
장기저축형 상품으로, 5년간 꾸준히 납입 시 최대 5천만 원까지 모을 수 있는 통장입니다.
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,
정부 기여금 + 비과세 이자 혜택까지 주어지는 아주 유용한 제도입니다.
✅ 청년도약계좌 핵심 요약 (2025년 기준)
항목내용
가입대상 | 만 19~34세 청년 근로자 (6개월 이상 소득 발생) |
연소득 기준 | 7,500만 원 이하 |
가구소득 기준 | 중위소득 180% 이하 |
납입 방식 | 월 10만 원 ~ 70만 원 자유적립 |
정부기여금 | 최대 월 4.2만 원 (소득 따라 차등) |
만기 기간 | 5년 |
수령 예상액 | 약 3,000만 원 ~ 최대 5,000만 원 |
이자 혜택 |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|
신청 방법 | 시중은행(우리, 신한, 국민, 농협 등) 방문 또는 비대면 신청 가능 |
🎯 가입 조건 자세히 보기
✔️ 연령 기준
- 가입일 기준 만 19세 ~ 34세 이하
- 병역 이행자는 복무 기간만큼 가입 연령 상한 연장 가능
✔️ 소득 기준
- 개인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
- 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
(1인 가구 기준 약 월 355만 원 이하)
✔️ 소득 요건
- 최근 6개월 이상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함
(아르바이트, 프리랜서 포함 → 소득신고 필수)
💰 수령금액 시뮬레이션
소득구간월 납입액정부지원금5년 후 예상 수령액
하위소득 (기초수급~중위소득 60%) | 70만 원 | 4.2만 원 | 약 5,000만 원 |
중간소득 (중위소득 100% 수준) | 50만 원 | 약 3만 원 | 약 3,600만 원 |
상위소득 (중위소득 180% 이하) | 30만 원 | 약 1.5만 원 | 약 2,300만 원 |
※ 실제 수령금액은 이자율, 납입 금액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🏦 가입 방법 & 제출 서류
📌 어디서 가입하나요?
- 우리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농협, 국민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
- 일부 인터넷은행(카카오뱅크, 토스뱅크)은 추후 확대 예정
📑 필요한 서류
- 신분증
- 소득 증빙서류 (원천징수영수증 등)
- 주민등록등본
- 가구소득 확인서류 (필요 시)
⚠️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-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회수 + 비과세 혜택 소멸
- 1인 1계좌 한정,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불가
- 만기 전 해지는 원금만 지급될 수 있음
✅ 이런 청년에게 추천해요
- 월세+생활비에 쫓겨 저축이 힘든 청년
- 단기 적금보다 장기 목돈 마련이 목표인 사회초년생
- 정부지원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동시에 받고 싶은 사람
🔗 공식 사이트 및 은행 링크
- 정부24 청년도약계좌 안내
- 청년정책포털
- 각 은행 앱 (예: 우리WON뱅킹, 신한SOL 등)
728x90
반응형